Libraly/스코틀랜드 종교개혁과 장로교회 썸네일형 리스트형 6.4.교회개혁운동과 메리 여왕의 도전 6.4.교회개혁운동과 메리 여왕의 도전 http://www.kirs.kr/217 2008.02.18 15:59:56 (*.214.134.143) 6630 4. 교회개혁운동과 메리 여왕의 도전 낙스가 1559년 스코틀랜드로 돌아온 이후 종교개혁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었으나 1561년 8월 19일 스코틀랜드여왕 메리 스튜어트의 프랑스로부터의 귀국은 달갑지 않는 문제를 야기시켰다. 여왕 메리와의 대결 영국이나 스코틀랜드 역사에는 메리라는 이름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혼돈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여기서 다시한번 메리가 누구인지 정리해 두고자 한다. 스코틀랜드 왕 제임스 5세의 딸인 메리는 1542년 12월 7일에 태어났는데, 그녀가 출생한 후, 꼭 일주일 후인 12월 14일 그의 아버지는 사망하였다. 그래서 그녀는.. 더보기 6.3. 낙스의 개혁운동과 장로교 6.3. 낙스의 개혁운동과 장로교 http://www.kirs.kr/216 2008.02.15 11:12:26 (*.214.134.143) 6505 3. 낙스의 개혁운동과 장로교 정치적 배경 존 낙스는 1559년 5월 2일, 에딘버러로 돌아왔는데 당시 스코틀랜드는 정치적으로 혼란한 상태에 있었다. 제임스 5세(James Ⅴ, 1513-1542)의 유일한 자식인 메리 스튜어트(Mary Stuart, 1542년 12월 7일생, 1587년 처형 당함)는 여섯 살 때 어머니의 나라인 프랑스로 보내졌는데, 그곳에서 보호를 받으며 양육되었다. 메리는 명목상 스코틀랜드 여왕이었지 실제로는 그의 어머니인 기즈의 메리(Mary of Guise)가 섭정을 하고 있었다. 프랑스에서 성장하던 메리 스튜어트는 16세가 되던 1.. 더보기 6.2.개혁자 존 낙스 6.2.개혁자 존 낙스 http://www.kirs.kr/215 2008.02.05 13:40:15 (*.214.134.143) 6504 2. 개혁자 존 낙스 해밀톤의 순교에서부터 종교개혁이 성취되기까지 30여 년 간 약 20여명의 프로테스탄트들이 순교자의 길을 갔는데. 이들 가운데 훗날 낙스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은 죠지 위샤트(George Wishart)였다. 그는 낙스를 회심(?)시켜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게 했을 뿐만 아니라, 그로 하여금 스코틀랜드 전체를 그리스도에게 바치게 했던 사람이었다. 죠지 위샤트가 영국에서 돌아와 관헌의 눈을 피해 성경을 강해하러 다닐 때 낙스는 에딘버러시에서 떨어진 어느 시골 귀족집에서 가정교사로 일하고 있었다. 이 당시 낙스는 이미 성직자였으나 교회를 섬기는 것 .. 더보기 로버트 맥체인 맥체인 목사는 1813년에 태어나 스코틀랜드의 에딘버러 대학에서 수학했고,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목사로 임직되었다. 그의 첫 목회는 1839년 던디에 있는 성 베드로 교회에서 시작되었다. 건강이 아주 좋은 편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타교회 방문, 성경 공부, 기도와 명상, 저술 활동 등 늘 정력적인 생활 일정을 실천해 나갔다. 그는 소위 '불간섭 운동'(Non-Intrusion movement : 교회에 대한 국가의 간섭을 배제하는 운동)의 일원이 되었고, 이 운동은 결국 교회분열(스코틀랜드 국교에서 1733년에 장로교회가 분리되어 나간 뒤에 다시 또 국교에서 자유교회가 분리되어 나간 사건을 말한다)로 이어져, 스코틀랜드 국교회에서 474명의 목회자들이 탈퇴하여 1843년 스코틀랜드 자유교회를 결성하.. 더보기 6.1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운동 Ⅵ.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운동 지금까지 우리는 독일, 스위스, 영국(잉글랜드) 등지에서 일어난 교회개혁운동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제부터는 잉글랜드 북쪽에 있는 스코틀랜드에서 일어난 교회개혁운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운동은 후일 장로교로 발전하였고 그 개혁운동이 세계 장로교회의 원류가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널리 알려진 바이지만 스코틀랜드 개혁운동, 곧 장로교 신앙운동은 후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지로 전파되어 그 곳에 장로교회가 세워졌고 또 미국, 호주, 캐나다 장로교회는 1880년대 이후 한국에 선교사를 파송함으로써 한국에 장로교회가 설립되었다. 이런 점에서 스코틀랜드 장로교회는 한국 장로교회의 원류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코틀랜드 교회개혁사.. 더보기 About Scotland 스코틀랜드(Scotland) 스코틀랜드인은 고집세고, 완고하며, 자부심이 대단하다. 국토는 거칠고 야생적이지만 어느 지방 하나 아름답지 않은 곳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날씨는 극에서 극을 달리는 변덕스러운 날씨이나, 이곳의 사람들은 그들만의 확고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스코틀랜드인들은 절대 그들의 수로와 삼림을 건드리지 않는다. 그래서, 스코틀랜드 양고기, 소고기, 사슴고기, 송어, 연어는 세계적으로 알아준다. 이 모든 것을 떠나서라도 세계 으뜸이라는 스카치 위스키를 한 두잔 들이킨다면, 이들의 생활방식을 금방 알아차릴 것이다 스코틀랜드 지도 (15K) 통계 자료 지리 및 기후 역사 경제 문화 축제 및 행사 여행자 정보 경비 및 환전 여행 시기 주요 여행지 잘 알려지지 않은 여행지 레.. 더보기 SCOTTISH SETTLERS of Dunedin SCOTTISH SETTLERSThe Scottish settlement story began when two of the founding fathers of Dunedin - Captain William Cargill and Reverend Thomas Burns broke away from the Church of Scotland to create their own church - The Free Church of Scotland. Their goal was to create a Scottish religious community A New Edinburgh in New Zealand and Otago was chosen as the site. Dunedin didn't become a totally.. 더보기 스코틀랜드의 장로교회 1. 역사적 배경 스코틀랜드는 문명이 없는 나라는 아니었다. 예술은 놀라울 정도로 진전되었다. 그러나 제국의 중심지와 비교할 때 백성들은 야만적(barbarous) 이었고, 땅은 개척되지 못했다. 여러 세기 동안 민족(nation)이라고 불려질 수 있는 사람들이 없었다. 로마 제국은 어떤 시기에도 스코틀랜드를 차지하지 못했다. 사람들의 종교는 조잡했고 미신적이었다. 그 결과 그들은 기독교 신앙(the Christian faith)의 명백한 우위성 앞에 굴복하였다. 즉 스코틀랜드는 본래 외국의 선교적 노력에 의해 그리스도의 복음을 받아들인 이방 국가였다. (1) 성 니니안(St. Ninian) 스코틀랜드 교회사에서 나타나는 첫번째 이름은 성니니안(St. Ninian)의 이름이다. 그는 4세기 중엽에 태어났..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