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노해씨 사진전 중에서 마음에 남은 사진들(1) 노을녘에 종려나무를 심는 사람 Man planting a palm tree at sunset, Sudan, 2008. 누비아 사막에 석양이 물들면 하루 일을 마치고 종려나무를 심는다. 뜨거운 모래바람이 치면 말라 죽고 다시 심으면 또 말라 죽어가도 수단 사람들은 날마다 모래둑을 북돋고 나일 강물을 길어다 종려나무를 심어간다. 사막의 수행자처럼. 더보기
공기도(예배시 대표기도)에 대하여_안재경 목사 공적 기도의 중요성 목회기도에 대해서 안재경 목사(온생명교회) ▲ 안재경 목사 고려신학대학원 3,17,8사단 군종목사 한국헤비타드 총무 화란한인교회 담임목사 현 온생명 교회 담임 1. 공적 기도는 예배 순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구약시대에 성전은 ‘기도하는 집’(사 56:7)이라고 불렸고 하나님께서는 그 곳에서 하는 기도에 귀 기울이겠다고 말씀하셨다(대하 7:15). 바벨론 유수 이후에 유대인들이 회당을 세워 예배를 드릴 때에도 기도가 회당예배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았다. 오순절 성령강림으로 세워진 신약교회도 예외가 아니었다. 초대교회는 사도들의 가르침을 받아 모일 때마다 기도하기에 힘썼을 뿐만 아니라(행 2:42) 핍박 받는 구체적인 상황을 하나님께 아뢰었다(행 4:24; 12:5). 사도들은 기.. 더보기
그리스도인과 제사(2)_이재철 목사 "개신교, 전통문화 접목 지혜롭게 고민해야" 이재철 목사 "효와 가족 유대강화 추구하는 명절 의미 살려가야" 명절 때만 되면 제사 문제로 고민하는 신앙인들이 많다. "제사는 죄"라는 신앙기준 때문에 고민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조언은 무엇일까? 한국기독교선교백주년기념교회 이재철 목사는 지혜로운 접근을 당부했다. 이재철 목사는 CBS TV '미션인터뷰' 시간에서 명절 제사가 갖고 있는 측면 가운데 효의 개념과 가족 유대강화 개념은 개신교가 적극 접목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즉, 제사에는 조상을 기리고 감사하는 효의 개념과 가족 공동체 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측면, 그리고 조상의 귀신이 찾아오고 지켜준다는 종교적 측면 3가지가 있는데, 이 가운데 종교적 측면은 철저히 배제하더라도 앞선 .. 더보기
그리스도인과 제사_옥한흠 목사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해야 하나? - 옥한흠 (사랑의 교회 목사) 그리스도인들이 제사를 지내도 되는가? 제사문제로 많은 곤욕을 치르는 초신자들을 구제하기 위해 제사를 현실적으로 합리화시켜 보려는 여러 노력들이 있으나 성경적으로 시원한 대답을 할 수 없다. 제사가 민중관습에 속한 하나의 제도인지 아니면 종교적 신앙에 속하는 것인지에 대하여서는 아직 토론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제사를 아무리 부모공경을 위한 단순한 의식이라는 순수론을 가지고 주장한다고 할지라도 일단 그것이 이교나 미신의 배경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상 교회에서 그것을 용납할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볼 때 제사지내는 사람들의 마음에는 돌아가신 부모를 잘 모시면 자손이 복을 받는다는 강박관념 때문에 죽은 조상을 가정의 보호자로 모시는 종.. 더보기
백승화 장로님 묘역 사진입니다 새로남교회 홈페이지가 열리지 않아서 여기에 올립니다 권사님과 진하 종민이를 위해 기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혼자하는 초대교회사 공부를 위하여 몇 분의 도움과 추천을 받다. 이oo 교수님 목사님, 답장이 늦었습니다. 모든 공부가 그렇듯이, 목적이 뚜렸해야 합니다. 일단 가장 일반적인 교회사 책(저는 윌리스턴 워커의 교회사를 추천합니다) 중에서 초대 교회사를 읽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드롭너의 교부학을 적극 추천합니다. 그것을 다 숙지 하셨다면, 교부들의 글을 직접 읽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번역된 것이 많지는 않지만, 어거스틴이나 동방 교부들의 책을 집중적으로 읽기를 권합니다. -윌리스턴 워커의 교회사 중에서 초대 교회사 -교부학, H R 드롭너, 분도출판사 우oo 목사님 -곤잘레스의 초대교회사 -열두 사도들의 가르침 (디다케, 교부문헌총서 7), 정양모, 분도출판사| 10,000원 -사도 전승 (교부문헌총서 6), 히뽈리뚜스, 분도출판사 |.. 더보기
사역으로의 부르심 성공회 사제를 준비하는 어느 한 지인의 이야기 *모든 사람들은 하느님으로부터의 소명이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들이 착각하지 말아야 할 것은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소명과 사제로서의 소명은 분명 다르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그리스도인으로 하느님께 부르심을 받았다하여, 그것이 사제로서의 소명이라고는 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그 식별이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성소(거룩한 부르심)는 기본적으로 두 단계의 식별을 거쳐야 합니다. 하나는 내적 식별이고 다른 하나는 외적 검증입니다. 여러분은 이미 나름대로의 내적 식별을 거쳤거나, 그 과정 중에 있을 것입니다. 저는 여러분에게 오늘 이후, 스스로를 다시 한 번 되돌아 볼 것을 권합니다. 그리고 돌아볼 때 다음과 같은 것들을 명심하기를 바랍니다. 제가 지금 말씀드리.. 더보기
part 1 성부 하나님과 우리의 창조 ( 2 ) 하나님 아버지 part 1 성부 하나님과 우리의 창조 ( 2 )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을 아버지로 부르는 것이 기쁘고 감사합니까? 26문: “전능하신 성부 하나님, 천지의 창조주를 나는 믿사오며”라고 고백할 때 당신은 무엇을 믿습니까? What do you believe when you say, "I believe in God, the Father almighty, creator of heaven and earth"? 답: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하신 아버지께서 아무것도 없는 중에서 하늘과 땅과 그 가운데 있는 모든 것을 창조하셨고, 또한 그의 영원한 작정과 섭리로써 이 모든 것을 여전히 보존하고 다스리심을 믿으며, 이 하나님께서 그의 아들 그리스도 때문에 나의 하나님과 나의 아버지가 되심을 나는 믿습니다. 그분을.. 더보기
하나님은 가족이다 (삼위일체에 관한 김영봉 목사의 설교) 2010년 7월 18일 설교 열번째 “하나님은 가족이다”(God Is Family) --요한복음 17:20-26 1. 전도자들 가운데 가가 호호 방문하여 (Watchtower)라는 책을 전해 주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교파에 속한 사람들은 자신들이 가장 올바른 기독교 신앙을 믿는다고 주장하지만, 대부분의 기독교 교파에서는 이 교단을 이단으로 규정합니다. 혹시, 그 전도자들과 교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그것은 아주 위험한 일입니다. 그들은 기존 신자들의 약점을 공략하여 넘어뜨리는 일에 아주 잘 훈련된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그 전도자들이 기존 신자들의 믿음을 흔들기 위해 가장 자주 문제 삼는 것이 삼위일체 교리입니다. 그들은 자주 이렇게 질문합니다. “삼위일체 교리가 성경에 없다.. 더보기
궁금한데 물어볼 수 없었던 '삼위일체 교리' 송병주 목사 수요모임을 위해 삼위일체에 대한 자료를 검색하다가 삼위일체를 쉽게 잘 설명한 글과 설교가 있어서 올립니다. 아래의 글은 우리 교단 출신의 송병주 목사님이 미주 뉴스앤조이에 실은 글이고 다음 설교는 미국 와싱톤 감리교회 김영봉 목사님의 설교입니다. 궁금한데 물어볼 수 없었던 '삼위일체 교리' 삼위일체 신앙은 항상 공격의 대상이었다. '성경에 나오지 않는다', '하나님을 머리 셋 달린 괴물로 만들었다', '로마적 이교주의의 영향을 받은 사악한 교리다'는 등의 공격이 많았고, 그래서 폐기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여호와증인을 2대째 50년간 믿어온 분과 심각한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그때 나보고 그런 말을 했다. “예수는 하나님이 아닌데, 로마의 우상숭배에 빠진 기독교가 하나님이 아닌 겸손한 분 예.. 더보기